조선에서 갈릴레오보다 먼저? 측우기가 바꾼 기상학의 역사
비가 내리는 날,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산을 챙기고, 기상 앱을 확인하며 강수량을 파악합니다. 하지만 15세기 조선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어떻게 얻었을까요? 놀랍게도, 조선은 세계 최초로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구인 '측우기'를 발명하여 기상 관측의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이 혁신적인 발명은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온도계 발명(1592년)보다 약 150년 앞선 것으로, 조선의 과학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측우기는 1441년(세종 23년)에 세종대왕의 둘째 아들인 세자(훗날의 문종)가 가뭄과 홍수로 인한 농업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안한 기구입니다. 당시 농업은 국가 경제의 근간이었으며, 강우량의 정확한 측정은 농업 생산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세종대왕과 문종은 이러한 필요..